본문 바로가기
재태크

인생의 차이를 만드는 독서법 본깨적 후기

by 월오뷰의 투자 이야기 2022. 6. 19.
반응형
 
BOOK
  • 제목: 본깨적
  • 저자: 박상배
  • 출판사:  위즈덤하우스
  • 기간:  20220612~20220618
 
FEEDBACK
나에게 유용한 책인가?
점수
책은 전체적으로 논리적인가?
1
2
3
4
5
5
저자가 말하는 것은 실천 가능한가?
1
2
3
4
5
4
자신의 흥미와 호기심이 충족되었는가?
1
2
3
4
5
5
이 책에 얼마만큼 동의하는가?
1
2
3
4
5
5
한 번 더 읽을 필요가 있는가?
1
2
3
4
5
2
이 책을 소개하고 싶은가?
1
2
3
4
5
4
합계
25
*6~20점: 책 속 본깨적, 21~24: 본깨적 노트, 25~27점: 실무에 적용, 28~30점: 재독하기
 
KEYWORD
   # 책읽기 #본깨적 #삶을바꾸는책
 
CONTENTS
본깨적 노트
(책의 핵심 내용)
  • P67 : 삶을 바꾸는 책 읽기는 본깨적이다. 본깨적 책 읽기란 저자의 핵심을 제대로 보고 (본 것), 그것을 나의 언어로 확대 재생산하여 깨닫고 (깨달은 것), 내 삶에 적용하는 (적용할 것) 책 읽기를 의미한다. 책을 읽었는데도 삶의 아무 변화가 없었던 것은 책을 제대로 읽지 못했거나 읽었어도 읽은 것으로만 끝냈기 때문이라는 걸 그제야 비로소 깨달았다.
  • P85: 반복해서 읽는 것은 네번이면 충분하다. 모든 책을 다 다시 읽을 필요없다. 책을 읽고 나서 구분이 가능하고 현재 자신의 업무에 도움이 되는 내용이 많다거나 삶을 살아가는 데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한다고 판단되는 책만 다시 읽어도 괜찮다.
  • P106: 잔은 차고 넘치고, 물은 100도가 넘어야 끓는다. 임계점은 변화를 위해 기다려야 하는 인내의 시간이기도 하다. 책 읽기도 마찬가지다. 그냥 재미 삼아 읽는 책이라면 상관없지만 책을 통해 삶을 바꾸고 싶다면 임계점을 통과해야한다. 책 읽기의 임계점은 삶의 경험과 변화에 대한 간절함에 의해 결정된다. 300권!
  • P127~137: 책을 읽는데 필요한 준비, 첫째. 이 책과 나의 연관성은? 둘째, 책의 예상 핵심 키워드는? 셋째, 이 책에서 얻고자 하는것은? 책의 프롤로그/에필로고, 앞표지/뒤표지 그리고 목차를 통해 핵심을 파악할 수 있다.핵심 키워드를 뽑고 책을 통해 얻고자 하는것을 미리 정리하고 읽는것이 좋다.
  • P 139: 귀접기, 속독과 재독을 돕는다. 밑줄과 박스을 그으면서 책을 읽자
  • P147: 본 것은 책 상단에, 깨닫고 적용할 것은 하단에 적는다. "본", "깨", "적" 첫 글자를 적고 시작하면 나중에 찾기 쉽다.
  • P151: 책 속의 내용을 찾기 위해서는 인덱스를 붙이면 좋다. 파란색이 본, 노랑색이 깨, 빨간색이 적으로 구분해 두면 나중에 관련내용을 찾기 쉽다.
  • P160: 중요한 문장이나 좋은 글을 베껴 쓰는 것만으로도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책의 내용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많이 하다 보면 글쓰기 실력도 저절로 향상된다. 다산 정양욕이 수많은 저서를 남길 수 있었던 것은 초서를 많이 했기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P178: 저자의 핵심을 보기 위한 세가지, SKI (subject, Keyword, Impressive Phrase)로 주제, 키워드, 인상적인 구절을 의미한다.
  • P 180: 좀 더 깊은 깨달음을 위한 세가지, MRK (Motivation, Role model, Knowledg)로 동기, 역할모델, 지식이 깨달음의 범주에 포함된다. 저자를 역할 모델로 삼고 질문을 던지고 스스로 답을 고민해본다. 본 것의 주체는 저자지만 깨달은 것의 주체는 나다.
  • P182: 적용을 더 잘하기 위한 세가지, KIA (Kaizen, Idea, Action Plan) 으로 카이젠은 개선할 사항들을 책에서 찾아보는것, 아이디어는 휘발성이기 때문에 책을 읽으면서 생각날 때마다 책 귀퉁이에 적어두고, 책을 다 읽은 후 따로 본깨적 노트의 아이디어 코너에 정리를 해두자. 사실적용은 개선과 아이디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적극적으로 적용할 것을 찾아본다.
  • P191: 기본적으로 본깨적은 손이 바쁜 책 읽기다. 손 읽기와 함께 추천하고 싶은 방법은 "낭독"이다.
  • P232: 책을 많이 읽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실천이다. 책을 읽고 많은 것을 깨닫고 적용할 것을 기록하는 것도 좋지만, 많이 적고 머리를 가득 채우는 것만으로는 의미가 없다. 한가지라도 확실하게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북, 원메시지, 원액션 원칙을 적용하다.
  • P234: 삶을 변화시키려면 지속성이 중요하다. 하루 이틀 반짝 열심히 사는 것보다 하루에 한 가지씩이라도 변화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할 때 삶은 변한다. 과한 욕심은 오히려 실천을 방해하므로 한 책에서 하나씩만 꾸준히, 확실하게 실천하는 것만으로도 삶은 충분히 변한다.
(나의 이해와 해석)
  • 저자가 하는 이야기가 자신의 가치관과 평소 알고 있던 내용과 다르더라도 평가의 잣대를 휘두르기 전에 왜 그런 이야기를 했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그것을 통해 "나"의 관점에서 깨닫고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적용하자.
  • 임계점을 통과할때까지 차근차근 책을 읽자. 300권은 읽어야 변한다.
  • 책의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책을 읽으면서 귀접기, 밑줄 박스를 그어가며, 본깨적을 그때그때 책 상단과 하단에 적으면 재독때 크게 도움이 된다.
  • 정말 중요한것은 결국 실천과 꾸준함이다. 책을 통해 하나의 메세지를 찾고 그걸 매일 적용한다면 내 삶은 좋은 방향으로 변할 것이다.
(실제 적용할것)
  1. 책을 읽을때 본깨적 방법을 이용하여 읽자. 제대로 읽어 책 내용을 온전히 내 것을 만들고 삶에 적용해야 인생이 바뀌 수 있다.
  2. 300권을 목표로 내가 변화할때까지 차근차근 독서량을 늘려가자.
  3. 책을 읽을때 손독서를 하자. 낭독도 좋다. 읽은 책은 항상 본깨적 형태로 정리해둔다.
 
  • One Msg.: 꾸준히 독서를 하고 본깨적 방법대로 책을 읽고 정리해둔다.
  • One Action: 꾸준히 책을 읽자. 독서후기를 항상 작성하고 책을 읽고 최소 하나의 메세지를 찾고 내 삶에 적용한다.
 

책속의 책
  1. Time Power 잠들어 있는 시간을 깨워라
  2. 이기는 습관
 
 
반응형